레이의 뷰파인더로 바라본 세상

레이의 뷰파인더로 바라본 세상

  • 분류 전체보기 (524) N
    • 이전 블로그 (39)
    • 이후 블로그 (84)
    • 대한민국 독립운동가들 (397) N
    • 작업진행 (0)
    • 전시포트폴리오 (0)
    • 작업노트 (0)
    • 낙서장 (0)
    • 사진강의 (0)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레이의 뷰파인더로 바라본 세상

컨텐츠 검색

태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대한민국 독립운동가들(397)

  • 독립운동가 김대지 선생(1891~1942.10.26)

    독립운동가 김대지 선생(1891~1942.10.26) 조국의 독립이 우선이었던 민족의 지도자 김대지 선생이 그의 고향인 밀양에서 동화학원을 졸업하고 밀양에 청년회관을 건립하여 비밀결사 조직의 터전을 마련한뒤 이곳을 중심으로 항일투쟁단체인 일합사(一合社)를 조직하여 밀양지역의 청년들과 함께 독립운동의 전개방법을 모색하게 됩니다. 일합사는 1910년 나라를 빼앗긴 후 망국의 비애를 통감하고 국권 회복에 청춘을 바치겠다는 비장한 결의를 품은 20세 전후의 밀양 지방 청년들이 조직한 단체였습니다. 겉으로는 친목 단체이지만 실은 조국 독립을 위해 청춘을 바치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표방한 항일투쟁 단체였죠. 1910년대 후반부터 국내 항일운동의 한계를 깨닫고 중국, 만주 등지를 왕래하며 군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활동을..

    2024.10.26
  • 독립운동가 홍범도 선생(1868.8.27~1943.10.25)

    독립운동가 홍범도 선생(1868.8.27~1943.10.25) 봉오동 전투를 승리로 이끈 대한독립군 총사령관 가난한 농부 홍윤식(洪允植)의 아들로 태어났다. 선생의 본관은 남양(南陽), 호는 여천(汝千)이다. 선생은 매우 어렵게 성장하였다. 태어난 지 7일만에 어머니가 출산 후유증으로 사망하여 동네 부인네들로부터 젖을 얻어먹으며 자랐고, 또 9살 되던 해에는 부친마저 병으로 세상을 떠나 고아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선생은 작은 아버지 집에서 농사일을 거들며 지내다가 어느 부잣집의 머슴 노릇을 하기도 하였다. 1895년 8월 일제는 러시아 세력을 끌어들여 명성황후를 시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1895년 11월 강원도 회양에서 김수협과 의기상통하여 봉기한 뒤, 경기, 강원 지방과 관북지방을 연결하는 길목인..

    2024.10.25
  • 독립운동가 차희식 선생(~1939.10.18)

    독립운동가 차희식 선생(~1939.10.18) 화성 지역의 민중 3.1 운동을 주도하다 "지금부터, 일본경찰서를 파괴하고 일본 순사를 처단한다!" 경기도 화성의 우정, 장안면에서 일어난 3.1만세운동에서 행동대장으로 운동을 주도한 선생은 주민들과 함께 일제 탄압의 저항으로 면사무소와 경찰서주재소를 파괴하고 일 순사를 처단하였다. 차희식 선생이 생활했던 화성지역은 동학과 기독교가 전파되어 민족의식이 강했던 지역입니다, 특히 동학이 천도교로 발전하는 과정 속에서 지역 주민들의 독립의지와 자주의식이 매우 높았던 곳이죠. 선생은 이곳에서 3.1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였고 그로 인해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15년 형을 선고 받은 뒤 서대문 형무소에서 온갖 고문과 악형에 시달리다 출옥하였습니다. 여기서 잠시 선생..

    2024.10.18
  • 독립운동가 이광민 선생(1895~1945.10.18)

    독립운동가 이광민 선생(1895~1945.10.18) 만주 독립운동의 초석을 다진 애국지사 한국 근대 시기 명문가로 칭송 받을 수 있는 가문은 부를 축적한 가문, 높은 권력을 지닌 가문이 아니다. 조선후기 외세의 침입으로 풍전등화와 같은 조국을 구하기 위해 구국활동을 펼쳤거나 일제하 조국의 독립을 위해 활동한 가문이 바로 명문가다. 가풍에 의한 당연한 일이겠으나 그 시기 가족 중 어느 누가 구국 또는 독립운동을 펼친 인물이 나오면 그 가문의 구성원은 대체적으로 모두 같은 길을 걸었다. 안중근 일가, 김구 일가, 이회영 일가가 그랬다. 이광민의 가문도 바로 그 대열에 설수 있는 명문가였다. 그의 작은할아버지 이승화(李承和)와 백부 이상룡(李相龍)을 비롯한 3형제, 그리고 자신과 3명의 사촌 및 조카 병화(..

    2024.10.18
  • 독립운동가 조만식 선생(1883.2.1~1950.10.18)

    독립운동가 조만식 선생(1883.2.1~1950.10.18) 물산장려운동부터 신간회 결성까지 선생은 민족의 사표(師表)였다. 오산학교 교사로 출발한 그의 활동은, 열렬한 애국심과 독립정신 속에서 독립만세운동, 국산품애용운동으로 확대되었다. 선생은 좌우파가 하나가 되는 신간회가 결성되도록 애썼으며, 광복 후 반탁운동과 민족자주 독립운동의 지도자로서 활동하였다.

    2024.10.18
  • 독립운동가 고광순 선생(1848.2.7~1907.10.16)

    독립운동가 고광순 선생(1848.2.7~1907.10.16) 임란 의병장 고경명의 후손, 구한말 의병장으로 다시 칼을 잡다.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고경명의 혈손(血孫)으로 태어나다 고광순에게는 그가 의병전선의 선봉에 서지 않을 수 없었던 여러 가지 명분이 주어져 있었다. 그 첫째는 일제의 극심한 경제침탈을 결코 좌시할 수 없었다는 점이고, 둘째는 을사조약 늑결 후 광무황제의 밀칙이 내려와 있었다는 사실이며, 셋째는 임진왜란 때 순국한 저명한 의병장의 직손으로서 임무를 다하기 위해서도 의병을 일으켜야 했던 것이다. 1894년 동학농민전쟁을 계기로 청일전쟁을 도발한 직후부터 일제는 대한침략정책을 한층 강도 높게 진행시켜 갔다. 1895년에 들어와 나라에 대변고가 두 번이나 연이어 일어나자 이를 계기로 고광순..

    2024.10.16
  • 독립운동가 홍충희 (1878-1946)

    독립운동가 홍충희 (1878-1946) 요약 일제강점기 때, 만주에서 북로군정서 보병중대장을 역임하여 독립군 양성에 힘쓴 독립운동가. 내용 1903년 대한제국 무관학교 보병과를 졸업하고 대한제국 육군부위(陸軍副尉)를 지냈다.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가운데의 한 사람인 권동진(權東鎭)을 도와 참여한 뒤 김규식(金奎植)·김찬수(金燦洙) 등과 함께 북간도로 망명하였다. 1920년 만주 길림성 왕청현(吉林省汪淸縣)에서 서일(徐一)·현천묵(玄天默)·김좌진(金佐鎭)·김규식·이범석(李範奭)·조성환(曺成煥)·김찬수 등과 중광단(重光團)에서 발전한 정의단(正義團)을 다시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로 개편하는 데 참여하여 총사령관 김좌진 휘하의 보병중대장으로 독립군 양성에 진력하였다. 1920년 10월 일본..

    2024.10.16
  • 이강년(李康秊) 1858.12.30~1908.10.13

    이강년(李康秊) 1858.12.30~1908.10.13 대한제국기 용소동전투, 갈기동전투, 백담사전투 등에 참전한 의병장. 1880년 무과에 급제해 용양위부사과(龍驤衛副司果)로서 선전관이 되었다. 그러나 1884년 갑신정변이 일어나자 사직하고 낙향하였다. 1895년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閔氏)가 시해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1896년 1월 11일 가산을 털어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안동관찰사 김석중(金奭中)과 순검 이호윤(李浩允)·김인담(金仁覃)을 체포해 농암(籠巖) 장터에 운집한 군중 앞에서 효수하였다. 이어 제천으로 유인석(柳麟錫)을 찾아가 유인석의 문인이 되고, 유인석 의병부대의 유격장으로서 문경·평천·조령 등지에서 활약하였다. 이 해 4월에 장기렴(張基濂)이 거느린 관군과 제천에서 싸워 패해 ..

    2024.10.13
  • 독립운동가 오복원 선생 (1886-미상)

    독립운동가 오복원 선생 (1886-미상) 요약 대한제국기 이완용 암살모의에 가담한 항일운동가. 내용 평안남도 강동 출신. 이완용(李完用) 암살 당시 천도교인이자 대한의원부속의학교 생도였다. 1909년 여름, 이재명(李在明)이 우리나라를 일본의 속국화하려는 일진회장 이용구(李容九)를 살해하여야 한다는 데에 뜻을 합하여, 합방협약을 끝내 체결하고 만 이완용을 살해할 거사에 가담하였다. 거사 준비에서 박태은(朴泰殷)·이응삼(李應三)과 더불어 자금조달 책임을 맡았던 까닭에 자금 주선을 위하여 천도교교리강습소를 시찰한다는 명분의 위임장을 지니고 1909년 11월말에 평양에 갔다. 그 결과 약 50원의 자금을 조달하여 거사 때 입을 학생복과 무기 등을 구입하였다. 그러나 이완용암살사건이 실패로 돌아가 1910년 5..

    2024.10.11
  • 박자혜 선생 – 여성독립운동가

    박자혜 선생 – 여성독립운동가 2009년 7월 15일 충북 청원에서 박자혜의 사후 66년만에 처음으로 추모제가 열렸다. 대한간호협회는 국가보훈처가 7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한 박자혜 간호사에 대한 추모식을 개최했다. 이날 오후 1시 충북 청원군 낭성면 귀래리 묘역에서 열리는 추모식은 박자혜 선생의 숭고한 뜻과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덕남: "이제야 시어머니를 제대로 보는 것 같다. 어머니는 숨겨진 우리의 독립운동사, 그 절반의 그늘이다. " 박자혜 선생은 1895년 경기도 고양군 (지금의 고양시)에서 태어나 어릴 적부터 궁중 나인으로 생활했다. 나인은 왕과 왕비의 수족을 챙기는 신하로, 환관과 비슷한 개념 선생은 1910년 일제가 한일병탄조약으로 조선 궁중을 없애자 궁녀 신분에서 벗어날 수 있..

    2024.10.10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40
다음
레이의 뷰파인더로 바라본 세상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2023 Ray Graphics

티스토리툴바